박하는 꿀풀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 대표적 허브식물의 하나로, 대체로 물기가 있는 들에서 절로 자라거나 또는 심어기르고 있습니다. 박하 효능에 대해 [동의학사전]에 의하면 '꿀풀과에 속하는 다년생 풀인 박하의 전초를 말린 것이다. 각지에서 심는다. 여름에 꽃이 필 때 전초를 베어 그늘에서 말린다. 맛은 맵고 성질은 서늘하다. 폐경, 심포경, 간경에 작용한다. 풍열을 없애고 통증을 멈추며 발진을 순조롭게 하고 간기를 잘 통하게 한다. 약리실험에서 피부모세혈관확장작용, 땀샘분비촉진작용, 해열작용, 관상혈관확장작용, 소화선분비촉진작용, 위장윤동운동촉진작용, 진통작용, 이담작용, 억균작용, 소염작용, 방부작용 등이 밝혀졌다. 풍열표증, 풍열감모, 두통, 인후종통, 관상혈관 순환장애, 심장부위통증, 위염, 소화..
박하잎 효능, 박하잎차 - 박하 먹는법 화하고 개운한 향에 코가 확 트이는 느낌이 드는 박하잎. 습기가 있는 들에서 잘 자란다는 박하를 처음 만난 건 역시 시골 외가집 마당, 습기 많은 장독대 밑에서 였답니다. 키가 60-100Cm 되는 박하들이 장독대 사이를 비집고 하도 우후죽순처럼 왕성하게 자라나 번식력이 강하다는 생각을 했었죠. 그 당시 박하를 생 쌈으로 먹었는데요, 다양한 잎 채소들과 삼겹살, 멸치조림 등을 쌈 싸먹을 때, 박하 한 잎이나 반 잎을 함께 곁들여 먹으면 그 맛이 얼마나 깊어지고 풍부해 졌는지.... 그 맛을 잊지 못하네요. 박하도 쌈으로 먹는구나 그 때 알았죠. 그 쓰임들을 볼까요? 박하잎을 건조해 가루로 만들어 두었다가 매운탕을 비롯한 갖은 생선요리 등에 첨가하면, 좀더 풍부하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