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둥굴레는 백합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다음과 같은 여러 종이 있습니다. 꽃을 감싸고 있는 포가 있는지 없는지, 혹은 크기가 작은지 큰지, 아니면 잎이 돌려나기로 층층히 달렸는지 아닌지 등으로 구분에 도움을 받을 수 있답니다.

 

-북한 [동의학사전]에 의하면, 둥굴레를 '옥죽(玉竹)', 층층낚시둥굴레를 '황정(黃精)'이라 구분하고 있습니다. 층층낚시둥굴레나 층층둥굴레는 자연에서 자생하는 것은 보기 어렵다고 하는데요, 생약명 '황정'이라 하며 재배하고 있습니다. 둥굴레, 왕둥굴레, 용둥굴레, 퉁둥굴레, 무늬둥굴레 등의 생약명은 '옥죽'.

 

-둥굴레 (학명 : Polygonatum odoratum Drud.)

한방에서 뿌리를 '옥죽(玉竹)'이라 불리우며 약용하며, 줄기 전체가 만졌을 때 각이 져 있는 것이 특징으로, 꽃송이가 1~2개 달립니다. 줄기에 자주빛이 도는 경우가 많아요.


-왕둥굴레

한국 특산종인 왕둥글레는 시원하고 멋지게 자란 모습을 보면 대나무가 떠오르기도 하는데요, 일반 둥굴레보다 줄기나 뿌리가 다소 굵고 크고, 키가 2~3배가 크며, 꽃이 일반 둥굴레가 1~2개라면 왕둥굴레는 2~5개 정도로 여러 개가 달립니다. 다른 둥굴레에 비해 잎 뒷면에 희고 가는 털이 나 있습니다. 주로 서해안 섬이나 울릉도에서 관찰되어 집니다. (경북에서는 봉화) 번식이 잘 되고 재배도 잘 되는 편. 

 

-용둥굴레

2개의 꽃이 달리며, 꽃을 감싸고 있는 2장의 포엽이 선명하고 크게 자리하고 있다는 것이 가장 큰 특징입니다.

 

-퉁둥굴레 (통둥굴레)

꽃대가 가늘고 길며, 포엽의 수가 3~7개 가량 되어 포엽이 2개인 용둥굴레와 구별됩니다. 용둥굴레에 비해 드물게 발견되어진다고 하네요.

 

-각시둥굴레 (이명 - 둥굴레아재비, 애기둥굴레)

각시붓꽃, 각시제비꽃처럼 크기가 작고 여려보이는 꽃 이름 앞에 '각시'라는 단어를 붙이는 경향이 있는데요, 다른 둥굴레는 줄기가 비스듬히 누워 굽어있는 반면, 줄기가 휘지않고 꼿꼿이 서 있다는 점이 다른 둥굴레와 가장 큰 차이점입니다.

 


-무늬둥굴레

잎에 줄무늬나 흰 얼룩무늬가 나타나 있어요.

 

-산둥굴레

우리나라 고지대보다는 야산에 주로 서식하고 있고, 일반 둥굴레와 다른 점은 일반 둥굴레는 줄기 전체에 각이 진 반면, 산둥굴레는 줄기 아랫쪽은 둥굴둥굴하고 줄기 윗쪽 분분만 각이 졌다는 것. 또 일반 둥굴레는 잎파리 아랫쪽에 자주색 반점이 관찰되는 반면, 산둥굴레는 자주 반점이 없답니다. 일반 둥굴레와 뿌리성분과 효능에 있어서는 유사하다고 해요.

 

-진황정 (대잎둥굴레, 댓잎둥굴레)

우리나라에서 한라산에만 자생하는데요, 특징은 잎이 댓잎처럼 뾰족하고 가늘며, 줄기가 각 없이 둥그스레하며 꽃이 여러 개 매달려요. 뿌리 모양을 보면, 뿌리줄기가 굵으며 둥근 모양의 뿌리가 연결연결 되어 있고, '황정'의 기원식물이라고 합니다. 실제 황정 중에서 약으로 가장 많이 쓰인다고 하니 다시 한번 주목하게 되네요. (출처 - HBS 약초방송, 북한[약초의 성분과 이용])

 

왕둥굴레와 진황정이 꽃송이가 3송이 이상 달리네요. 꽃 피는 시기가 진황정은 5월, 왕둥굴레는 6~7월로 다릅니다.

 


-층층갈고리둥굴레 (북한 : 낚시둥굴레) (학명 : Polygonatum sibiricum Rehd.)

한방에서 약재명을 '황정(黃精)'으로 불리워요. 잎이 줄기를 중심으로 돌려나고 가지에 층층으로 달리기 때문에 일반 둥굴레와 구별이 쉬운데요, 일반 둥굴레 보다 뿌리 굵기가 엄지 손가락 이상으로 굵습니다. 정력을 보강하는 데 있어서 효능이 좋다고 해요. 우리나라 충북 제천에서 많이 재배된다고 합니다. 층층갈고리둥굴레의 층층둥굴레와의 차이점은 잎 끝이 낚시 바늘처럼 갈고리 모양으로 돼 있다는 것.

 

-둥글레(옥죽 玉竹)와 황정(黃精)은 효능이 거의 유사하다고 하는데요, 허약체질, 당뇨, 폐결핵, 마른기침, 심장쇠약에 좋은 효과가 있고, 심장과 폐를 윤택하게 하고 원기를 북돋으며 정을 보충해주는 등의 효능이 비슷하다고 합니다.

 

 

 

둥굴레들이 모양은 조금씩 차이는 있는데 효능은 대체로 비슷하군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