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늦가을이나 봄철, 향긋한 향으로 입맛을 돋궈주는 냉이. 봄나물이지만 약초로서도 뛰어난 효험이있는 냉이인데요, 문헌기록과 현대임상실험 결과 및 성분을 통해 냉이 효능을 살펴보고, 먹는방법도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간을 튼튼하게 하는 냉이 효능 : 문헌기록, 현대임상실험 및 성분

 

냉이는 이른 봄 나물로서만 아니라 간의 기능을 높여주고, 눈을 밝게 하며, 기운을 나게 하고, 위를 건강하게 하며, 소화를 잘 되게 하고, 오줌을 잘 나오게 하며, 피를 멎게 하는 데 효험이 좋은 약초로 유명합니다. 자궁을 수축시키고 혈압을 내리는 효능도 있다고 해요. 한방에서는 냉이 전초를 '제채'라 하여 약용합니다.

 

1. [동의학사전]에 의한 냉이 효능

 

냉이 즉 '제채' 효능에 대해 북한 [동의학사전]에 의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배추과에 속하는 일년생 풀인 냉이의 전초를 말린 것이다. 각지의 들판이나 길가, 개울가, 밭에서 널리 자란다. 봄에 꽃이 필 때 전초를 채취하여 그늘에서 말린다. 맛은 달고 성질은 평하다. 간경, 심경, 폐경에 작용한다. 출혈을 멈추고 비장을 튼튼하게 하며 소변이 잘 나오게 하고 눈을 밝게 한다."

 

2. [동의보감]에 기록된 냉이 약성

 

냉이의 약성에 대해 허준의 [동의보감]에 의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성질이 따뜻하고 맛이 달며 독이 없다. 간기를 잘 통하게 하고 속을 고르게 하며 5장을 편안하게 한다. 밭이나 들에 나는데 겨울에도 죽지 않는다. 냉이로 죽을 쒀 먹으면 그 기운이 피를 간으로 이끌어 가기 때문에 눈이 밝아진다."

 

3. 냉이 성분 및 현대임상실험에서 밝힌 냉이 약효 

 

ㆍ냉이 성분

 

옛 사람들은 육류를 좋아하는 사람이 냉이를 먹으면 장을 깨끗하게 해 준다 하여 냉이를 '정장초'라고 불렀다고 합니다. 냉이에는 단백질, 비타민, 회분, 탄수화물, 칼슘, 인 등의 영양성분이 고루 함유되어 있습니다. 특별히 단백질은 시금치의 2배, 칼슘은 3배나 더 많이 함유하고 있습니다.

 

ㆍ현대임상실험에서 나타난 냉이 약효

 

현대임상실험에 의하면, 냉이는 위와 비장의 기능을 높이고, 간을 튼튼하게 하고 눈을 밝게 하며 오줌을 잘 나오게 하고 피를 멎게 하며 설사를 그치게 하는 작용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또 현대의학에 의하면, 냉이는 자궁수축작용과 관상동맥 확장작용, 혈압을 낮추는 작용, 혈액에 산소 농도를 높이는 작용(세포 조직에서 산소를 빨리 받아들이게 하는 작용)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서양에서는 냉이 추출물질로 고혈압 치료약과 지혈제 등을 만든다고 합니다.

 

최고의 봄나물 냉이 먹는방법

 

이른 봄, 입맛을 돋구어 주고 춘곤증을 없애는 데 좋은 냉이. 우리 민족은 수천 년 전부터 냉이를 나물로 먹고, 약재로 썼으며, 구황작물로도 중요하게 생각해 왔습니다.

 

늦가을 또는 이른 봄철, 넓게 퍼진 어린 잎과 뿌리(곧은 뿌리)를 통째로 캐어 소금물에 살짝 데쳐 나물로 무쳐 먹거나 된장을 풀어 국을 끓여 먹으면 그 향긋함이 일품이지요. 그 밖에도 생 것을 무쳐 먹어도 맛있고 즙을 내서 먹기도 하고, 또 여러 나물과 같이 튀겨서 먹거나 데쳐 비벼 먹습니다.

 

특별히 봄철 몸이 쳐지고 입맛 없을 때, 냉이를 말렸다가 뜨거운 물에 우려내 냉이차를 만들어 마시면 좋다고 합니다. 또 이른 봄 기운없고 밥맛 없을 때는 냉이를 잘게 썰어 냉이죽을 끓여 먹으면 몸의 활력을 되찾을 수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